BOARD


4월 22일 ‘지구의 날’ 맞아 기술전공자에 컴퍼니빌딩 지원하는 ‘클라이밋 펠로우십’ 모집 시작

“큰 문제에 더 큰 기회 있다”…기후테크 기창업팀 위한 ‘클라이밋 액셀러레이팅’도 모집



기후·환경 기술 전공자나 창업 경험자에게 스타트업 창업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탄생했다.

임팩트 투자사 소풍벤처스는 기후테크(climate-tech) 창업가 육성 프로그램 ‘임팩트 클라이밋 펠로우십’ 지원자 모집을 ‘지구의 날’인 이튿날(22일)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지구의 날 : 매년 4월 22일로,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1970년 미국 환경운동가들이 제정한 날이다. 우리나라도 2009년부터 이날 저녁 8시에 10분간 소등 행사를 진행하는 등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탄소 절감 필요성을 인식하는 날로 보내고 있다.


임팩트 클라이밋 펠로우십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를 기술 기반 비즈니스로 해결할 창업가를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펠로우로 선발되면 소풍벤처스가 8개월 동안 창업 아이템 구체화를 돕는다. 최경희 튜터링 공동창업자, 염재승 텀블벅 창업자 등 창업 및 엑시트 경험이 있는 소풍 파트너들이 밀착 멘토링을 제공한다.

소풍은 펠로우가 창업 준비에 전념할 수 있도록 월 200만원의 활동비와 사무실도 제공한다. 펠로우가 창업에 성공하면 소풍이 시드 투자를 집행하고, 데모데이 등을 통한 VC 후속 투자도 연결한다.


 

펠로우십은 ‘테크 트랙’과 ‘비즈니스 트랙’으로 나뉘어 선발된다.

테크 트랙은 기후·환경 관련 기술 전문성이 있는 이들을 위한 트랙이다. 관련 전공 석·박사 학생이나 교수, 기업·연구기관 연구원 등이 주요 대상이다.

비즈니스 트랙은 테크 트랙의 기술 전문가와 창업팀을 꾸릴 창업·경영 전문가를 위한 트랙이다. 창업 및 엑시트 경험이 있거나, 경영·기획 업무를 해본 이들을 우대한다.


소풍은 우선 트랙당 25명씩 50명을 선발해 2개월 간 교육한 다음, 창업 의지가 있는 인원 약 20명을 ‘클라이밋 펠로우’로 추려 창업가로 육성할 계획이다.

‘테크 펠로우’와 ‘비즈니스 펠로우’가 짝을 이뤄 최종적으로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창업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목표다. 물론 외부 인원과 팀을 꾸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특정 분야의 창업을 지원하면서 활동비를 주고 컴퍼니빌딩까지 제공하는 펠로우십 프로그램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이다.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는 “소풍이 마중물을 부어서 기후테크 초기 팀을 키워내기 시작하면 더 많은 자본이 유입될 거라고 기대한다”며 “기후 위기 같은 큰 문제일수록 더 큰 기회가 있는 만큼, 창업 아이디어나 의지가 있는 분들이 많이 지원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임팩트 클라이밋 펠로우십은 내일(22일)부터 5월 18일까지 지원할 수 있다. 


이미 회사를 차려서 기후 위기 대응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기후테크 기창업팀이라면 펠로우십 대신 ‘임팩트 클라이밋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지원하면 된다. 펠로우십과 같은 기간(4월 22일~5월 18일)에 별도로 모집한다.

기후변화에 대응할 기술이나 비즈니스모델을 가진 창업팀에게 사업 가속화 컨설팅, 경영·환경·법률 등 분야별 전문가 자문, 임팩트 리포트, VC 투자 유치 기회 등을 제공한다.



2022년 4월 21일 보도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할 기후기술(climate-tech) 스타트업에 주로 투자하는 투자조합이 탄생했다. 

기후·환경 분야 석박사급 인재에게 지원금을 지급하면서 기후기술 창업가로 육성하는 펠로우십 프로그램도 국내 최초로 만들어진다.


임팩트 투자사 소풍벤처스는 기후변화에 대응할 기술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스타트업 투자에 집중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한 벤처캐피털(VC) 회사가 기후테크 투자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하는 것은 국내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국내외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후위기는 이미 우리 사회는 물론이고 인류 사회가 당면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가 지난 2월 발표한 제6차 평가보고서(AR6) 실무그룹2보고서(WG2)는 기후변화가 예상보다 더 빠르고 심각하다고 경고했다. 기후변화로 농수산물 수확량 감소, 홍수·폭풍우·자연재해 증가 등의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식량·경제·보건 등에 실체적 위협이 늘어나고 있다.

2015년 파리협정에 따라 전 세계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넷제로, 탄소 순배출량 0)을 달성하기로 했으며, 한국도 지난해 발표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통해 탄소 감축 목표와 실행계획을 세운 상태다.

국제기구와 전문가들은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기후테크 개발·육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기후기술 투자 트렌드 리포트 2021에 따르면, 전세계 VC 투자금액 중 아직 14%만이 기후테크에 투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관련 통계도 잡히지 않는 실정이다.





소풍벤처스는 2008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임팩트 투자사로서 기후테크 스타트업 투자 및 육성에 전격적으로 나서기로 결정했다.

소풍은 올해부터 ‘ACT ON CLIMATE CRISIS(기후위기에 대응하자)’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임팩트 클라이밋’(IMPACT CLIMATE)이라는 이름의 세 가지 트랙을 실행한다.


첫 번째로는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할 재원인 ‘임팩트 피크닉 2호 투자조합’(가칭)을 4월 초에 결성한다.

펀드는 총 100억원 규모로 결성될 예정이다. 연내 출자자 모집에 따라 100억원 이상 규모가 될 가능성도 있으며, 100% 민간 자금으로만 조성되는 펀드다.


소풍은 이 펀드 자금의 50% 이상을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주로 국내 초기 스타트업에 약 1억~5억원을 투자한다. 국내 초기 스타트업에 집중 투자하는 기후 펀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생기는 것이다.

투자 분야는 신재생에너지, 농식품, 순환경제 등이다. 기후변화를 완화(mitigation)하거나 기후변화 적응(adaptation)에 도움을 주는 기술 기반의 창업팀을 주로 찾는다. 기후테크와 시너지를 낼 기타 임팩트 분야 및 해외 스타트업에도 투자 가능성을 열어 둔다.


이 펀드에는 2010년 전후로 창업한 ‘벤처 2세대’ 창업가들이 출자자로 동참해 의미를 더한다.

스타일쉐어 창업자 윤자영 대표, 크래프톤 공동창업자 김강석 전 크래프톤 대표 등이 소풍 기후 펀드에 출자한다.

소풍벤처스 관계자는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큰 문제가 기후 위기이므로 기후테크 분야에서 후배 창업가를 양성해야 한다는 데에 출자자분들께서 모두 동의하셨다”면서 “’가장 적극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은 임팩트 투자’라는 취지에 흔쾌히 뜻을 같이 하셨다”고 전했다.





두 번째로 소풍은 기후테크 창업가를 육성할 ‘임팩트 클라이밋 펠로우십’ 프로그램을 4월에 시작한다.

기후·환경 분야의 기술전공자(테크 트랙)와 창업·경영 경험자(비즈니스 트랙)를 50명 내외로 모집해 교육한 다음, 창업 의지가 있는 일부를 펠로우로 선정해 기후테크 스타트업으로 컴퍼니빌딩(company building)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소풍은 이들이 창업 준비에 전념할 수 있도록 8개월의 교육 기간 동안 월 200만원씩 창업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최경희 튜터링 공동창업자, 염재승 텀블벅 창업자 등 창업 및 엑시트 경험이 있는 소풍 파트너들의 밀착 멘토링, 사무실 제공 등도 계획하고 있다. 창업에 성공하면 소풍이 시드 투자도 하고, VC 후속 투자도 연결한다.

이처럼 특정 분야의 창업을 지원하면서 지원금을 지급하는 펠로우십 프로그램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이다.

소풍벤처스 관계자는 “기후테크 창업 현황을 조사한 결과, 현존하는 창업팀에 투자만 해서는 빠르고 지속가능한 기후 문제 해결이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소풍의 전례 없는 시도가 국내 창업·투자업계에 기후테크 바람을 일으키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 번째로 소풍은 기후 관련 스타트업의 성장을 가속화하는 ‘임팩트 클라이밋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내달 런칭한다. 기후변화에 대응할 기술이나 비즈니스모델을 가진 창업팀에게 전문가 컨설팅 및 VC 투자 유치 기회 등을 제공한다.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는 “임팩트 투자사로서 기후 문제에 대한 투자를 더는 미룰 수 없다고 판단했고, 국내에서 기후기술 창업이 드물었던 만큼 오히려 투자 가치는 크다고 봤다”며 “소셜임팩트가 큰 기후테크를 발굴·육성해 개별 팀은 물론 관련 산업 전반이 성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2년 3월 22일 보도

https://platum.kr/archives/182809






임팩트 투자사 소풍벤처스는 농업·식품(농식품) 스타트업 전문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임팩트어스 2022’ 참가팀을 모집한다고 3일 밝혔다.


임팩트어스는 국내외 농업·식품 산업 생태계를 혁신할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농식품 특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이다.
2020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 한국농업기술진흥원(옛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주관, 소풍벤처스가 운영하고 있다.


소풍벤처스는 지난 2년 동안 임팩트어스 프로그램을 통해 23팀의 농식품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했고, 이 중 39%인 9팀에 직접 투자도 했다.
임팩트어스 참가팀이 이후에 타 벤처캐피털(VC)의 후속투자를 받거나 인수합병(M&A)된 경우를 모두 합하면 약 150억원 규모에 달한다. 


올해 임팩트어스 프로그램에 선발된 창업팀은 1천200만원의 사업화 지원금을 받게 되며, 추가로 소풍벤처스가 최대 3억원의 시드 투자를 적극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각 팀의 사회적 가치를 명문화해 기업 홍보에 활용할 수 있는 ‘임팩트 리포트’ 발간도 지원한다.

참가팀에게는 8개월간 최경희 전 튜터링 공동창업자, 염재승 전 텀블벅 창업자 등 창업 경험이 풍부한 소풍벤처스 파트너들이 밀착 멘토링을 제공한다. 소풍이 농식품 기술 전문가 전담 멘토링, 벤처·투자업계 네트워킹, VC·언론 대상 공개 데모데이 등도 지원한다.

또 올해부터는 2020~2021 임팩트어스에 참가했던 회사들을 포함해 견조한 매출을 내며 성장 중인 국내 대표 농식품 스타트업들의 대규모 네트워킹 행사도 열릴 예정이다.


 임팩트어스 모집 기간은 이날(2일)부터 이달 25일까지다. 임팩트어스 홈페이지를 통해 지원할 수 있다.


소풍벤처스 이학종 투자총괄파트너는 “농업과 식품은 생산부터 폐기까지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우리 사회와 밀접하기 때문에, 소셜 임팩트가 큰 동시에 투자 가치도 매우 크다”며 “소풍은 올해 선발팀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고려할 예정이므로 많은 팀이 지원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2년 3월 3일 보도

https://mirakle.mk.co.kr/view.php?year=2022&no=198229



임팩트 투자사 소풍벤처스가 헬스케어 스타트업에 연속 투자했다. 

소풍벤처스는 최근 헬스케어 스타트업 에그코퍼레이션, 메디엔비테크, 노드 등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소풍의 시드(seed) 투자를 유치한 에그코퍼레이션은 헬스케어 전문 D2C(소비자 직접 판매) 스타트업이다. 거북목 교정기 ‘밀당넥’을 개발·판매하는 바른자세교정 브랜드 퓨어플랜, 멘탈케어 향테리어(향을 활용한 인테리어) 브랜드 오도르 등을 운영한다.

밀당넥의 경우 지난 2020년 8월 출시한 후로 1년여 만에 누적 매출 25억원을 돌파했다. 미국과 중국·일본 등 해외 수출도 하고 있다. 퓨어플랜은 밀당넥의 후속작으로 틀어진 좌골의 밸런스를 맞춰주는 ‘바른 자세 스마트 방석’을 준비하고 있으며, 두 제품의 특허 등록과 출원을 마쳤다.



소풍의 투자를 받은 또 다른 헬스케어 스타트업인 메디엔비테크는 와상환자와 보호자·간병인을 위한 스마트 대소변 처리기를 개발·판매하는 시니어 헬스테크 스타트업이다.

혼자서 용변을 처리하기 어려운 와상환자는 대부분 기저귀를 착용하는데, 제때 기저귀를 교체하지 않으면 피부염·욕창의 위험이 증가하고 사용하면서 정신적 스트레스도 크다. 보호자·간병인 입장에서도 용변 처리는 위생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간병 노동의 스트레스를 가중하는 문제가 있다.

메디엔비테크의 스마트 대소변 처리기는 실시간으로 대소변을 자동 처리하며, 바이오 미생물 필터 등 독자 기술을 활용한 세정 및 살균 건조로 위생적이고 쾌적한 돌봄 환경을 만든다. 누적 450대 발주가 확정되고 200여대 납품이 완료되는 등 국내외 의료현장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소풍은 최근 의료기기 스타트업 노드에도 시드 투자했다. 노드는 독자적인 펄스전자기장(PEMF) 기술로 비삽입형 비염 치료기를 개발 중인 회사다. 의공학 박사인 박지훈 대표와 이나라 부대표가 내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제품 임상에 매진하고 있다.

소풍은 유엔이 정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목표(UN SDGs) 등을 고려해 투자하는 임팩트 투자사다. 초고령화 등 한국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해 헬스케어 분야 투자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올해 2월 현재 포트폴리오 106곳 중에서 약 23%(24곳)가 헬스케어 관련 회사다.

특히 소풍은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함께 투자조합(펀드)을 운용하는 등 긴밀히 협력하며 강원도에 위치한 헬스케어 스타트업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강원도는 강원형 뉴딜 특화산업 중 하나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를 정해 도내 헬스케어 창업 팀을 발굴·육성 중이다.

이학종 소풍벤처스 투자총괄파트너는 “고령화, 기후 변화 등으로 사회 변화가 빠를 수록 이에 적응하도록 돕는 다양한 분야의 헬스케어 역시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강원도 및 강원창경과 함께 우수한 헬스케어 창업 팀을 발굴·육성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2022년 3월 2일 보도

https://pharm.edaily.co.kr/news/read?newsId=01354646632259384&mediaCodeNo=257



구독 전문 플랫폼 스텝페이, 중기부 팁스 프로그램 선정

구독 전문 솔루션 ‘스텝페이’가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 창업 투자 프로그램 ‘팁스’(TIPS)에 선정됐다.

팁스는 대표적인 민간투자 주도형 기술 창업 지원 프로그램이다. 세계 시장을 선도할 IT 기술이 있고 해외 진출 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을 정부와 민간 투자사가 함께 발굴해 2년간 최대 7억 원을 지원한다. 

스텝페이는 임팩트 투자사 소풍벤처스를 통해 팁스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됐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platum.kr/archives/179479

스텝페이 팁스 자세히 보기

http://www.jointips.or.kr/bbs/board.php?bo_table=team&wr_id=1576&sfl=wr_26&stx=2021&page=2



에너지IT 소셜벤처…식스티헤르츠, 풍력 발전량 예측으로 중기부‘팁스’선정 

에너지IT 소셜벤처 식스티헤르츠가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 창업 투자 프로그램인 ‘팁스’에 최종 선정됐다.

식스티헤르츠는 풍력 발전량 예측 기술력을 높게 평가 받아 이번 팁스에 선정됐다. 식스티헤르츠는 2년간 약 5억 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mirakle.mk.co.kr/view.php?year=2022&no=114025

식스티헤르츠 팁스 자세히 보기

http://www.jointips.or.kr/bbs/board.php?bo_table=team&wr_id=1577






소풍 및 포트폴리오사의 인터뷰 등 취재를 희망하시는 경우

아래 양식이나 info@sopoong.net 으로 문의해주세요.

--
소풍벤처스(이하 ‘회사’라 한다)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지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제1조 (개인정보의 처리목적)
회사는 다음의 목적을 위하여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1. 홈페이지 회원 가입 및 관리
회원 가입의사 확인, 회원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본인 식별․인증, 회원자격 유지․관리, 제한적 본인확인제 시행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 부정이용 방지, 만 14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처리시 법정대리인의 동의여부 확인, 각종 고지․통지, 고충처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2. 재화 또는 서비스 제공
물품배송, 서비스 제공, 계약서․청구서 발송, 콘텐츠 제공, 맞춤서비스 제공, 본인인증, 연령인증, 요금결제․정산, 채권추심 등을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3. 고충처리
민원인의 신원 확인, 민원사항 확인, 사실조사를 위한 연락․통지, 처리결과 통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처리합니다.

제2조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기간)
① 회사는 법령에 따른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또는 정보주체로부터 개인정보를 수집시에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이용기간 내에서 개인정보를 처리․보유합니다.
② 수집된 개인정보는 별도 요청이 없을시 사업이 진행되는 기간 보유하며, 사업 종료시 일체 정보를 폐기합니다.


제3조 (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① 회사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만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② 회사는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자 : 인터뷰 희망 포트폴리오사
- 제공받는 자의 개인정보 이용목적 : 취재 요청에 따른 담당자 연결
- 제공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매체명, 이메일 주소, 휴대전화 번호
- 제공받는 자의 보유․이용기간 : 별도 폐기 요청이 없을시 사업 종료시까지

제4조(이용자 및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그 행사방법)

① 정보주체는 회사에 대해 언제든지 다음 각 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1. 개인정보 열람요구
2. 오류 등이 있을 경우 정정 요구
3. 삭제요구
4. 처리정지 요구
②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회사에 대해 서면, 전화,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등을 통하여 하실 수 있으며 회사는 이에 대해 지체없이 조치하겠습니다.
③ 정보주체가 개인정보의 오류 등에 대한 정정 또는 삭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회사는 정정 또는 삭제를 완료할 때까지 당해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하지 않습니다.
④ 제1항에 따른 권리 행사는 정보주체의 법정대리인이나 위임을 받은 자 등 대리인을 통하여 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규칙 별지 제11호 서식에 따른 위임장을 제출하셔야 합니다.
⑤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계법령을 위반하여 회사가 처리하고 있는 정보주체 본인이나 타인의 개인정보 및 사생활을 침해하여서는 아니됩니다.

제5조(개인정보의 파기)
① 회사는 개인정보 보유기간의 경과, 처리목적 달성 등 개인정보가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지체없이 해당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② 정보주체로부터 동의받은 개인정보 보유기간이 경과하거나 처리목적이 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법령에 따라 개인정보를 계속 보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개인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B)로 옮기거나 보관장소를 달리하여 보존합니다.
③ 개인정보 파기의 절차 및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파기절차
회사는 파기 사유가 발생한 개인정보를 선정하고, 회사의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의 승인을 받아 개인정보를 파기합니다.
2. 파기방법
회사는 전자적 파일 형태로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도록 로우레밸포멧(Low Level Format)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파기하며, 종이 문서에 기록․저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하여 파기합니다.

제6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회사는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1. 관리적 조치 : 내부관리계획 수립․시행, 정기적 직원 교육 등
2. 기술적 조치 : 개인정보처리시스템 등의 접근권한 관리, 접근통제시스템 설치, 고유식별정보
등의 암호화, 보안프로그램 설치
3. 물리적 조치 : 전산실, 자료보관실 등의 접근통제

제7조(권익침해 구제방법)
정보주체는 아래의 기관에 대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피해구제, 상담 등을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침해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운영)
- 소관업무 : 개인정보 침해사실 신고, 상담 신청
- 홈페이지 : privacy.kisa.or.kr
- 전화 : (국번없이) 118
- 주소 : (58324) 전남 나주시 진흥길 9(빛가람동 301-2) 3층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개인정보 분쟁조정위원회
- 소관업무 : 개인정보 분쟁조정신청, 집단분쟁조정 (민사적 해결)
- 홈페이지 : www.kopico.go.kr
- 전화 : (국번없이) 1833-6972
- 주소 : (03171)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정부서울청사 4층

▶ 대검찰청 사이버범죄수사단 : 02-3480-3573 (www.spo.go.kr)
▶ 경찰청 사이버안전국 : 182 (http://cyberbureau.police.go.kr)


제8조(개인정보 처리방침 시행 및 변경)
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은 2020년 2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CONTACT US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한빛관 보듬관 2층 (본점)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2길 20,

카우앤독 3층 (지점)

info@sopoong.net

IMPACT CLIMATE >

기후테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IMPACT EARTH >

농식품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N.Harvest X >

예비 농식품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SOPOONG TYPHOON  >

시작하는 창업가를 위한 시드팁스 프로그램 

COPYRIGHT © 2020 SOPOONG VENTURES CORP ALL RIGHTS RESERVED